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소아 심방중격 결손: 정의, 원인, 유병률, 치료 잘하는 병원

by 윤윤4u 2025. 1. 1.
반응형

소아 심방중격 결손 관련 이미지

소아 심방중격결손의 정의와 원인

소아 심방중격결손(ASD, Atrial Septal Defect)은 태어날 때부터 좌심방과 우심방을 구분하는 벽(심방중격)에 구멍이 생긴 상태로, 선천성 심장질환 중 하나입니다. 이 구멍 때문에 산소가 풍부한 혈액이 좌심방에서 우심방으로 흘러 폐로 가는 혈액량이 늘어나게 됩니다. 심방중격결손은 크기가 작을 경우 무증상으로 자라날 수도 있지만, 크기가 큰 경우 아이가 쉽게 피곤해하거나 성장 속도가 느려지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심방중격결손의 원인: 심방중격결손은 주로 태아가 자궁에서 성장하는 과정에서 심장의 벽이 제대로 닫히지 않아 발생합니다. 유전적인 요인과 환경적인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산모가 임신 중 풍진에 감염되거나, 음주와 흡연 같은 유해 환경에 노출되었을 경우 발생 가능성이 증가합니다. 또한, 다운증후군과 같은 특정 유전적 질환과 동반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심방중격결손은 결손의 위치에 따라 세 가지로 분류됩니다:

  1. 1차 중격 결손: 심방중격 하부에 생기는 결손.
  2. 2차 중격 결손: 심방중격 중앙에 위치하며, 가장 흔히 발생하는 유형.
  3. 정맥동 결손: 심방중격의 상부에 생기는 드문 결손.

결손의 크기와 위치에 따라 증상과 치료 방법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소아 심방중격결손의 유병률과 치사율

 

유병률:
심방중격결손은 신생아 1,000명 중 약 1.5~2명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됩니다. 이는 전체 선천성 심장질환 중 약 6~10%를 차지하는 흔한 질환입니다. 우리나라에서도 매년 수백 명의 신생아가 심방중격결손으로 진단됩니다. (Mayo Clinic, 2023)

치사율:
작은 심방중격결손의 경우 치사율이 거의 없으며, 대부분 증상이 없거나 자연적으로 결손이 닫히기도 합니다. 그러나 큰 결손을 방치하면 폐고혈압이나 심부전 같은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사망 위험이 증가합니다.

  • 치료받지 않은 심방중격결손 환자의 30세 이후 사망률은 일반 인구의 약 2배로 증가합니다.
  • 치료를 받은 경우, 10년 생존율은 약 95~98%에 달합니다. (American Heart Association, 2023)

조기 진단과 치료가 이루어지면 치사율을 거의 제로로 줄일 수 있으며, 아이들은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이어갈 수 있습니다.

소아 심방중격결손 치료 방법과 국내 명의 병원

치료 방법:
심방중격결손의 치료는 결손의 크기, 증상 정도, 그리고 환자의 나이에 따라 달라집니다.

  • 관찰: 작은 결손의 경우 증상이 없으면 관찰만으로도 관리할 수 있습니다. 성장하면서 자연적으로 결손이 닫히는 경우도 많습니다.
  • 약물치료: 심부전 예방과 증상 완화를 위해 이뇨제와 같은 약물이 사용됩니다. 하지만 약물은 근본적인 치료법이 아닙니다.
  • 경피적 폐쇄술: 카테터를 이용해 중격 결손 부위를 막는 장치(폐쇄기)를 삽입하는 비수술적 방법입니다. 성공률이 97% 이상으로 매우 안전하며, 회복 기간이 짧아 소아 환자에게 적합합니다. (Mayo Clinic, 2023)
  • 외과적 수술: 큰 결손이나 경피적 폐쇄술이 불가능한 경우 시행됩니다. 결손 부위를 패치로 봉합하며, 성공률이 95% 이상입니다.

국내 소아 심방중격결손 치료 병원:

  1. 서울아산병원 어린이병원: 국내에서 가장 큰 규모의 어린이병원을 운영하며, 심방중격결손 치료 성공률이 높습니다.
  2. 서울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경피적 폐쇄술을 포함한 최신 치료법을 제공하며, 국내 최고의 소아 심장질환 전문가들이 활동하고 있습니다.
  3. 삼성서울병원 심장혈관병원: 선천성 심장질환 치료로 국내외에서 인정받고 있으며, 소아 심방중격결손 치료에서도 높은 성공률을 자랑합니다.

소아 심장 명의 소개:
서울아산병원의 박영환 교수는 소아 심장수술의 대가로, 언론에서 선천성 심장질환 관련 수술 성공 사례가 보도된 바 있습니다. (조선일보, 2022)

 

결론: 심방중격결손 치료와 관리의 중요성

소아 심방중격결손은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로 대부분의 환자가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는 질환입니다. 유병률은 신생아 1,000명당 약 1.5~2명으로 비교적 흔하지만, 경피적 폐쇄술과 같은 최신 치료법이 보편화되면서 예후가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우리나라의 서울아산병원, 서울대학교병원, 삼성서울병원과 같은 대형 어린이병원은 세계적인 수준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며, 소아 심장 명의들이 활동하고 있습니다. 부모님들은 자녀의 증상을 면밀히 관찰하고, 이상 증상이 발견되면 전문 병원을 찾아 조기 치료를 진행해야 합니다.

반응형